메타버스에 진출하는 분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류가 개척해야 할 신대륙 메타버스, 인터넷을 통한 게임 즐기기는 이제 구시대의 산물이 된 지 오래다. 공연관람, 취미활동, 쇼핑 등 인터넷을 통한 활동의 범위는 넓어지고 있다. 온라인 게임이나 싸이월드와 같은 SNS 등이 메타버스 초기형태라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메타버스는 PC화면이라는 2차원 공간에서 화면 제약이 사라진 3차원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유통업계도 메타버스에 속속 동참하고 있다. SNS를 이을 차세대 마케팅 플랫폼으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본지는 전세계적으로 열풍이 불고 있는 메타버스 개념을 살피고 유통업계는 어떻게 발맞춰 움직이는지 짚어봤다.-편집자주-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미국의 SF소설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에 등장했던 개념이다. 아바타를 통해 새로운 3D 공간에서 삶을 살아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개념은 2003년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라는 게임을 통해 현실화 됐다. 게임 내에서 사용자들은 실제 세계에 살고 있는 것처럼 생산과 소비, 커뮤니티 활동을 하기도 했다. 메타버스는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어다. 개인을 표현하는 아바타들이 놀이, 업무, 소비, 소통 등 소셜과 각종 활동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싸이월드라는 플랫폼이 한때 인기를 끌다가 어느 순간 자취를 감췄다. 모바일과 소셜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가상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가상 현실, 증강 현실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특정 가상의 공간에서도 무리없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해졌다. 여기에 부캐(부캐릭터)나 세계관 개념, 가상 세계에 익숙한 MZ 세대의 등장, 코로나 이슈가 겹치면서 언택트 공간에서도 사람들이 교류할 수 있는 메타버스가 다시 수면 위에 떠올랐다. 메타버스는 여전히 시작단계에 불과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과 5세대(G) 이동통신 기술 발전과 맞물려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들은 2025년 전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2800억 달러(31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제페토 플랫폼에서 구현된 구찌 빌라의 캐릭터들 (사진=꾸지 홈페이지 캡쳐) ■ 가상세계의 구찌 빌라에서 제품 입고 거닐기 패션브랜드 업계에서는 이미 메타버스를 활용한 MZ세대 사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패션브랜든인 구찌·컨버스·디즈니·푸시버튼 등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디지털 그래픽으로 만든 자사 제품을 선보였다. 제페토는 지난 2018년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제트가 개발한 증강현실 아바타 서비스를 뜻한다. 3D 그래픽 기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고 가상의 세계에서 다른 사용자와 만나거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 사용자 수는 2억명을 넘었다. 해외 이용자 비중은 90%, 10대 이용자 비중은 80%에 이른다. 이용자들은 인공지능(AI)이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해 만든 아바타에 원하는 브랜드의 옷과 액세서리 등을 입힐 수 있고 다른 사용자(아바타)와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다. 제페토는 디즈니, 나이키 등 유명 브랜드부터 블랙핑크와 같은 아이돌까지 다양한 글로벌 지식재산권(IP)과 협업뿐 아니라 유튜브 창작자와 콘텐츠 교류도 추진하고 있다. 구찌는 본사가 있는 이탈리아 피렌체를 배경으로 한 '구찌 빌라'에서 제품을 직접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는 공간을 제작했다. 구찌 빌라에 방문하면 아바타를 통해 구찌 의상을 입어보고 포토존에서 사진을 촬영도 가능하다. 프랑스 명품 슈즈 브랜드 크리스찬 루부탱은 지난해 파리 패션위크를 기념해 2021SS 컬렉션을 제페토에서 처음으로 공개하기도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소비 증가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라이프 인 메타버스] ①SNS 내리고 메타버스 탑승

꾸찌 등 패션브랜드, 제페토와 제휴 맺고 패션 아이템 및 3D 월드맵 론칭
소비 잠재력 지닌 MZ세대 공략 위한 움직임 활발

심영범 기자 승인 2021.06.05 09:39 의견 0
메타버스에 진출하는 분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류가 개척해야 할 신대륙 메타버스, 인터넷을 통한 게임 즐기기는 이제 구시대의 산물이 된 지 오래다. 공연관람, 취미활동, 쇼핑 등 인터넷을 통한 활동의 범위는 넓어지고 있다. 온라인 게임이나 싸이월드와 같은 SNS 등이 메타버스 초기형태라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메타버스는 PC화면이라는 2차원 공간에서 화면 제약이 사라진 3차원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유통업계도 메타버스에 속속 동참하고 있다. SNS를 이을 차세대 마케팅 플랫폼으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본지는 전세계적으로 열풍이 불고 있는 메타버스 개념을 살피고 유통업계는 어떻게 발맞춰 움직이는지 짚어봤다.-편집자주-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미국의 SF소설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에 등장했던 개념이다. 아바타를 통해 새로운 3D 공간에서 삶을 살아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개념은 2003년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라는 게임을 통해 현실화 됐다. 게임 내에서 사용자들은 실제 세계에 살고 있는 것처럼 생산과 소비, 커뮤니티 활동을 하기도 했다.

메타버스는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어다. 개인을 표현하는 아바타들이 놀이, 업무, 소비, 소통 등 소셜과 각종 활동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싸이월드라는 플랫폼이 한때 인기를 끌다가 어느 순간 자취를 감췄다. 모바일과 소셜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가상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가상 현실, 증강 현실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특정 가상의 공간에서도 무리없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해졌다.

여기에 부캐(부캐릭터)나 세계관 개념, 가상 세계에 익숙한 MZ 세대의 등장, 코로나 이슈가 겹치면서 언택트 공간에서도 사람들이 교류할 수 있는 메타버스가 다시 수면 위에 떠올랐다.

메타버스는 여전히 시작단계에 불과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과 5세대(G) 이동통신 기술 발전과 맞물려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들은 2025년 전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2800억 달러(31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제페토 플랫폼에서 구현된 구찌 빌라의 캐릭터들 (사진=꾸지 홈페이지 캡쳐)

■ 가상세계의 구찌 빌라에서 제품 입고 거닐기

패션브랜드 업계에서는 이미 메타버스를 활용한 MZ세대 사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패션브랜든인 구찌·컨버스·디즈니·푸시버튼 등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디지털 그래픽으로 만든 자사 제품을 선보였다.

제페토는 지난 2018년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제트가 개발한 증강현실 아바타 서비스를 뜻한다. 3D 그래픽 기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고 가상의 세계에서 다른 사용자와 만나거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 사용자 수는 2억명을 넘었다. 해외 이용자 비중은 90%, 10대 이용자 비중은 80%에 이른다.

이용자들은 인공지능(AI)이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해 만든 아바타에 원하는 브랜드의 옷과 액세서리 등을 입힐 수 있고 다른 사용자(아바타)와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다.

제페토는 디즈니, 나이키 등 유명 브랜드부터 블랙핑크와 같은 아이돌까지 다양한 글로벌 지식재산권(IP)과 협업뿐 아니라 유튜브 창작자와 콘텐츠 교류도 추진하고 있다.

구찌는 본사가 있는 이탈리아 피렌체를 배경으로 한 '구찌 빌라'에서 제품을 직접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는 공간을 제작했다.

구찌 빌라에 방문하면 아바타를 통해 구찌 의상을 입어보고 포토존에서 사진을 촬영도 가능하다.

프랑스 명품 슈즈 브랜드 크리스찬 루부탱은 지난해 파리 패션위크를 기념해 2021SS 컬렉션을 제페토에서 처음으로 공개하기도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소비 증가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