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는 8월 이른바 '데이터3법' 본격 시행되면서 새로운 금융산업인 마이데이터시장의 포문이 열린다. 마이데이터는 금융권에 흩어진 개인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고객들은 은행, 보험, 카드 등 개별 금융회사에 각각 접근해 정보를 수집했던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금융상품 가입·자산 내역 등 자신의 신용정보를 한눈에 파악해 쉽게 관리할 수 있다. 금융상품 조건을 비교해 보다 유리한 상품에 가입을 할 수도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정부가 오는 2023년까지 국내 데이터시장을 30조원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은행과 핀테크 업체의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데이터분석 전문가 영입… 금융서비스 통합 검토

9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데이터사업부를 별도 구축하고 데이터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농협은행은 디지털금융부 안에 데이터사업부를 별도로 설치했다. 데이터 분석·마케팅 전문가인 이상래 전 삼성SDS 상무를 디지털금융부문장(부행장급)으로 앉혔다. 데이터사업부는 각 부서의 데이터 사업 관련 기획·분석·솔루션 개발·마케팅을 총괄하고 마이데이터 사업도 맡는다. 

신한은행은 마이데이터 제휴사를 뽑고 컨설팅을 받기 위한 공고도 조만간 낼 예정이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도 각각 마이데이터 사업 태스크포스팀을 만들고 컨설팅 업체를 뽑는 작업에 나섰다.

하나은행은 '데이터 분석역량'이 마이데이터 사업의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손님빅데이터센터가 중심이 돼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마이데이터 시행 이후 부동산, 자동차, 뱅킹, 페이 등 여러 앱으로 나눠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통합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은행권이 마이데이터 시장 준비에 적극 나선 이유는 핀테크, IT기업들이 은행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경쟁력 있는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어서다. 반면 핀테크 업체들은 신용평가에 대한 데이터가 적어 은행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미미하다. 

은행권은 IT대기업이 네이버처럼 자회사를 만들어 금융데이터만 활용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실제 네이버는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 정보를 공개하는 대신에 은행·카드사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사실상 기울어진 운동장인 빅테크의 금융권 진출이 과도한 경쟁을 일으킬 수 있어 사전에 대비하고 있다"며 "공급자 중심 서비스를 개인 중심으로 정교화·고도화한 업체가 마이데이터 시대의 승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이 지난 5월14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 사전수요 조사 결과 마이데이터 사업자를 희망한 업체 수는 총 119개로 집계됐다.

최소 자본금 5억원, 시스템 구성·보안 체계 등 물적 요건, 사업계획 타당성, 대주주 적격성, 선임 예정 임원 자격, 본인신용정보관리업무 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문성 등 6개 법규상 허가요건을 지녔는지 여부를 심사한 뒤 최종 사업자가 선정된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금감원의 향후 정기 감독·검사 대상에 포함된다.